위택스, STAX, 지방세 납부 시스템 완전 정리
자동차세, 재산세, 주민세 등 지방세 납부 시 대부분의 국민은 ‘위택스(WETAX)’를 이용합니다. 하지만 서울 시민은 납부가 되지 않는 경험을 한 번쯤 해보셨을 텐데요. 서울은 위택스가 아닌 ‘STAX’라는 별도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위택스와 STAX의 차이점, 그리고 왜 서울만 따로 운영하는지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위택스(WETAX)란?
위택스(WETAX)는 행정안전부와 전국 지자체가 함께 운영하는 통합 지방세 납부 사이트입니다.
서울을 제외한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가 이 시스템을 통해 지방세를 통합 납부하고 있습니다.
º 공식 홈페이지: https://www.wetax.go.kr
º 주요 기능:
º 자동차세, 재산세, 주민세 등 납부
º 세금 고지서 조회 및 전자납부
º 자동이체 신청
º 신용카드 결제, 간편결제(Kakao/네이버 등) 가능
º 서비스 시간: 매일 07:00~22:00 (일부 서비스는 24시간)
즉, 전국민의 디지털 세무 창구라 할 수 있죠.
2. STAX란? (서울시 이택스)
STAX(서울시 지방세 인터넷 납부시스템는 서울특별시가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지방세 납부 플랫폼입니다.
서울시민은 위택스를 통하지 않고 STAX에서 지방세, 세외수입 등 모든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º 공식 홈페이지: https://etax.seoul.go.kr
º 모바일 앱: ‘서울시 STAX’ 앱 (Android/iOS)
º 주요 기능:
º 지방세 납부(자동차세, 재산세, 주민세 등)
º 세외수입(과태료, 이행강제금 등) 납부
º 신용카드 및 간편결제, 비회원 납부 가능
º 연납신청, 자동이체 등록 등 가능
STAX의 장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직관적이고, 모바일 최적화가 잘 되어 있다는 점입니다.
3. 서울은 왜 STAX를 따로 운영할까?
서울시가 위택스에 참여하지 않는 이유는 크게 3가지입니다.
① 서울시 규모와 행정 독립성
서울시는 광역시이자 수도로서 세무 행정 수요가 많고 복잡합니다. 자체 시스템을 통해 세금 납부부터 정산, 관리까지 통합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② 기존 이택스 시스템의 안정성
서울시는 2000년대 초반부터 '이택스(etax)'라는 자체 시스템을 개발·운영해왔습니다.
이미 검증된 시스템이 있었기 때문에 굳이 위택스와 통합하지 않고, 독자 노선을 유지한 것입니다.
③ 서울 시민 맞춤 서비스 제공
서울시민을 위한 전용 알림 서비스, 할인 프로모션, 모바일 접근성 개선 등을 독자적으로 기획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4. 다른 지자체도 자체 시스템을 운영하나?
서울 외에는 대부분 위택스를 기반으로 운영합니다. 다만, 일부 지자체는 위택스와 연동된 별도 포털이나 앱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서울시만 유일하게 완전 독립된 지방세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블로그 독자들을 위한 꿀팁 요약
º 서울시민이라면 → STAX (etax.seoul.go.kr 또는 STAX 앱) 이용
º 서울 외 지역 시민이라면 → WETAX (wetax.go.kr) 이용
º 카드 납부, 간편결제 모두 가능하며, 연납 신청도 가능
º 서울시는 모바일 앱에서 알림톡, 납부 확인, 자동이체까지 간편하게 처리 가능
마무리 Tip
“서울은 왜 STAX 따로 써요?”라는 질문은 단순한 시스템 차이를 넘어
행정의 자율성과 디지털 서비스 최적화에 대한 선택의 결과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서울시민이면서도 위택스에서 세금 납부하려다 막혔던 경험, 있으셨나요?
이제는 STAX에서 쉽고 빠르게 처리하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