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카드 번호의 구성
신용카드 카드번호는 국제표준으로 정해진 체계를 따릅니다.
일반적으로 16자리 숫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 숫자는 카드 발급자, 카드 종류, 계좌 번호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카드번호의 첫 숫자는 카드 조류를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Visa 카드의 경우 첫 숫자가 4로 시작하며, Mastercard의 경우 5로 시작합니다. 또한 다른 숫자들도 카드 발그자, 국가 등의 정보를 나타내기도 합니다.
또한, 카드번호의 마지막 숫자는 검증 숫자(체크 디지트)로 불리는데, 이는 카드번호가 유효한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됩니다.이 검증 숫자는 모든 숫자의 합을 구한 후, 일정한 공식을 이용해 계산됩니다. 이를 통해 실제 카드번호와 입력된 카드번호가 일치하는지를 확인하여 부정거래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카드 보안 강화를 위해 카드번호 대신 카드사에서 발급한 토큰(token)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실제 카드번호는 저장되지 않으므로 보안이 더욱 강화됩니다.
은행 고유 번호
첫째 자리부터 여섯째 자리까지의 번호(BIN 번호)만 보면 해당 카드는 어느 나라의 어느 카드사가 발급한 카드인지, 카드회원이 골드, 개인, 법인인지 알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주 산업 식별번호(MII)
카드번호의 첫 번째 자리에 해당하는 숫자다. 앞자리 4는 비자카드로만 나오며 9는 해외결제불가이다.
발급자 식별 번호(IIN)
카드의 발급지를 식별할 수 있는 6자리로 된 번호이다.
나머지 숫자
7번째 자리부터 15번째 자리까지 각 카드사가 어떤 규칙에 따라 사용해야 하며, 16번째 자리는 특정 공식에 따라 카드 번호를 확인하는 값입니다.
카드번호 검증 공식은 Luhn 알고리즘(Luhn algorithm)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 공식은 모든 신용카드 발급자가 사용하는 공식으로, 부정거래를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Luhn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이 작동합니다.
① 카드번호의 마지막 숫자를 제외한 모든 숫자를 2배씩 곱합니다.
② 곱한 결과가 10 이상인 경우, 각 자리의 숫자를 더합니다.
③ 1번에서 곱한 숫자와 2번에서 더한 숫자를 모두 더합니다.
④ 더한 숫자가 10으로 나누어 떨어지면 유효한 카드번호입니다.
예를 들어, Visa 카드번호가 4123 4567 8901 2345일 경우, 검증 숫자를 계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4*2)+(1*1)+(2*2)+(3*1)+(4*2)+(5*1)+(6*2)+(7*1)+(8*2)+(9*1)+(0*2)+(1*1)+(2*2)+(3*1)+(4*2)+(5*1) = 90
② 9+0+4+6+8+0+2+2+1+0+0+2+6+6+8+5 = 59
③ 90+59 = 149
④ 149는 10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으므료, 이 카드번호는 유효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카드번호는 부정거래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카드 보안 코드
신용카드 보안 코드는 카드 결제 시 부정거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안전장치 중 하나입니다. 주로 카드번호와 함께 제출되며, 카드사에서 사용자를 인증하는 역할을 합니다.
보통 CVV(Credit Verification Value)라고 불리며, Visa, Mastercard, Discover 카드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카드 뒷면에 있는 서명란 옆의 3자리 숫자로, 카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부정거래를 방지하는 데 사용됩니다.
American Express 카드에서는 CVC(Credit Verification Code)라는 코드를 사용합니다. 이는 카드 앞면에 있는 4자리 숫자로, CVV와 마찬가지로 카드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부정거래를 방지하는데사용됩니다.
보안 코드는 카드 결제 시에만 필요하며, 카드번호와 함께 저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부정거래를 시도하는 사람이 카드번호만을 알고 있더라도 보안 코드를 모르면 결제를 할 수 없습니다.
카드 번호 목록
대한민국 내에서 사용 할수 있는 신용카드, 체크카드, 직불카드, 현금카드, 선불카드 번호는 아래 표와 같은 숫자로 시작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