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자영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업종별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율 총정리 (2025년 기준)

by 머니라떼1000 2025. 5. 14.

자영업자라면 꼭 알아야 할
업종별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율 총정리 (2025년 기준)

소비자 입장에서는 신용카드 한 장으로 간편하게 결제하면 끝이지만, 자영업자에게 신용카드 결제는 '수수료'라는 비용 부담으로 다가옵니다.

특히 최근 몇 년 사이 정부가 영세·중소 가맹점에 대해 수수료 우대정책을 펴고는 있지만, 여전히 업종·매출 규모에 따라 부담의 차이는 크죠.

이 글에서는 자영업자 기준으로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율이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2025년 현재 업종별 평균 수수료율을 정확하게 정리해드립니다.

■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란?
소비자가 10,000원을 카드로 결제하면, 자영업자는 카드사에 일정 비율(수수료)을 떼고 나머지를 받게 됩니다.

이 수수료는 다음과 같이 나뉩니다:
   º  카드사 몫 (발급사, 매입사)
   º  밴(VAN)사 몫
   º  여신금융협회 및 정산 수수료 등
결국 자영업자는 매출에서 1%~2% 정도를 수수료로 납부하게 되며, 업종과 연매출에 따라 차등 적용됩니다.

   연매출에 따른 수수료율 구간 (2025년 기준)
정부는 영세·중소 가맹점 보호를 위해 수수료 우대구간을 설정해 두고 있습니다.



 연매출 기준은 국세청 부가가치세 신고 기준입니다.
 실제 적용 수수료율은 카드사로부터 가맹점 등록 후 ‘수수료 통보서’를 통해 확인 가능합니다.

   업종별 평균 가맹점 수수료율 (2025년 상반기 기준)



PG사 결제를 사용하는 온라인 사업자(예: 쿠팡 파트너, 배달의민족 사장님 등)는 카드 수수료 + PG수수료 이중 부담 발생 → 합산 3%를 초과하는 경우 흔함

   간편결제 수수료는 더 높다?
카카오페이,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 간편결제 수단은 사용자 입장에서 편리하지만, 자영업자 입장에서는 수수료율이 신용카드보다 높을 수 있습니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 대상 QR 기반 직불결제 시스템으로, 수수료 면제 정책이 적용되고 있어 자영업자들에게 매우 유리한 수단입니다. 단, 소비자 사용률은 아직 낮은 편입니다.

   자영업자가 수수료 절감하는 방법
 1. 국세청 신고 매출을 정확하게 신고 → 연매출 3억 이하로 판정 시 0.8% 우대 적용
 2. 여신금융협회 고객센터(☏ 02-2011-0770)에 수수료율 확인 요청 가능
 3. PG사 수수료 비교 필수 → 수수료율 높은 곳은 협의 또는 대체
 4. 제로페이, 계좌이체 등 대체 결제수단 안내로 수수료 부담 줄이기

   마무리 요약
   º  자영업자의 카드 수수료는 업종과 연매출 규모에 따라 달라집니다.
   º  연매출 3억 이하 소상공인은 0.8%의 우대 수수료율이 적용되며,
   º  PG사나 간편결제 사용 시 수수료가 2~3배 이상 올라갈 수 있습니다.
   º  수수료는 '결제 편의성'과 '비용' 사이의 균형이 핵심입니다.

소비자의 편리함은 늘어났지만, 자영업자의 수익은 줄어들 수 있습니다.
내 가게에서 발생하는 수수료를 정확히 알고 관리하는 것, 그 자체가 재무 전략입니다.

댓글